[지리/관광]
...“철 따라 고운 옷 갈아입는 산”이라는 노랫말처럼 본 도서에 수록된 그림들은 계절마다 다른 풍광과 정취를 뽐내는 금강산의 다채로운 모습을 보여준다.
수많은 북한 미술작가들이 아름다운 금강산을 작품으로 남겼는데, 저자는 본인이 수집한 작품 중에서 380점을 엄선하여 수록하였다.
북한 조선화의 고유하고 독특한 기초를 세우고 꽃피운 근대 조선화 3대 화가 리석호(내금강), 김용준(해금강), 정종여(외금강)의 작품을 1점씩 각 서두에 싣고, 이어 현대 조선화 4대 작가인 정영만(5점), 정창모(5점), 김상직(5점), 선우영(10점)의 작품도 함께 실었다. 또한 조선화 작가 중에서 빼놓을 수 없는 거장인 리창(3점)과 황영준(5점), 유화 부문에서는 정관철(3점), 그리고...
[지리/관광]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의 땅 이름에는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향취, 언어 등 고유의 문화가 담겨있고 삶의 역사가 새겨져 있다.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은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을 바로 알려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책에서는 평양시를 비롯하여 북한 지역의 시·군에 있는 8,000여 개의 지명 유래에 대하여 사료를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지명이 표기된 고지도와 최근 지도를 함께 수록하였다. 이번에 발간되는 지명유래집이 북한 땅의 이름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지리/관광]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 서평
우리나라의 땅 이름에는 그곳에서 살아온 사람들의 생활 모습과 향취, 언어 등 고유의 문화가 담겨있고 삶의 역사가 새겨져 있다. 조상들의 지혜로운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은 후손들에게 물려주어야 할 중요한 문화자산으로 인식되고, 이러한 삶의 모습이 담겨 있는 지명을 바로 알려야 할 필요성도 높아지고 있다.
이 책에서는 평양시를 비롯하여 북한 지역의 시·군에 있는 8,000여 개의 지명 유래에 대하여 사료를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이해를 돕기 위해 지명이 표기된 고지도와 최근 지도를 함께 수록하였다. 이번에 발간되는 지명유래집이 북한 땅의 이름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고...
[정치/군사]
...제3부에서는 북한군의 심리전, 사이버전, 전자전 등 비물리적 위협 등을 망라하였습니다.
이 책의 특징은 대한민국의 자유와 평화를 위협하는 북한의 군사적 실 체에 총체적으로 접근하여 군사적·비군사적, 물리적·비물리적 능력과 위 협을 궁금하게 여기는 독자들에게 매우 요긴할 것입니다. 따라서 이 책 은 대학 및 대학원의 북한학 연구자는 물론, 군의 중추인 간부, 군사학과 학생 및 사관학교 생도들에게도 현재와 미래에 대적해야 할 북한군의 실 체와 위협을 공부하는 개론서이자 총서가 될 것입니다. 이 책을 통해 김정은 시대 북한군의 실체와 능력, 위협에 대해 최신의 자료와 현황을 습득함으로써 대적 군사대비계획을 발전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기초와 통 찰력을 제공하길 바랍니다.
[정치/군사]
...“우리가 정신의 합동이오, 목적의 합동이오, 또 역량의 합동이니 자유로 합심해서 진보적 번영을 목적하고 나아가는 운동은 성공할 수밖에 없는 것입니다.”
“우리가 취하려는 것은 곤란과 희생을 같이 무릅쓰고 복스러운 나라를 건설하자는 것입니다.”
“우리가 민국의 기초를 공고히 세워서 우리의 영광스러운 역사를 다시 연출하며 더욱 영광스럽게 하자는 것입니다.”
“국가의 독립과 인민의 자유는 내가 늘 선언한 바와 같이 남의 예물이나 기부로 되는 일은 전에도 없었고 이후에도 없을 것입니다.”
“독립과 자유는 보배로운 것이므로...
[학술논문]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 관련 법제의 변천과 내용분석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관리정책은 2000년대 후반부터 급격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2009년 수정보충된 ‘문화유물보호법’과 이 법을 기초하여 2012년에 제정된 ‘문화유산보호법’은 북한의 문화유산에 대한 관심을 반영한다고 볼 수 있다. 북한의 문화유산 보호와 관련된 법제는 보다 체계적이고 세분화되며 전문성과 효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비물질문화유산’(남한의 ‘무형문화재’와 유사한 개념)의 법제를 통한 관리는 ‘문화유산의 개념’부터 ‘발굴과 수집’, ‘평가와 등록’에 이르기까지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며 남한과 북한의 ‘문화유산’...
[학술논문] 남북한 가족가치관의 비교고찰
... 북한은 국가가, 남한은 개인이 우선시된다. 둘째, 법률혼을 원칙으로 하나 이성교제, 배우자 선택기준, 이혼 등에서 북한은 제한이 많은 반면, 남한은 자유로운 선택이 우선시된다. 셋째, 모두 부부관계의 평등성을 전제로 하나 북한은 역할인식 및 수행에서의 불평등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 넷째, 모두 출산을 장려하고 자녀양육의 주체도 유사하나 자녀교육의 목표에서 차이를 보인다. 다섯째, 모두 부양의식을 미풍양속으로 간주하나 남한의 가족부양의식은 북한에 비해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통일 이후 가정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학술논문] 북한 이미지 결정요인 연구: 북한에 대한 인식과 남남갈등
...“남남갈등”에 대한 기존 연구들은 북한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한국사회 정치적갈등의 중요한 축이라고 주장해왔다. 이 연구는 이러한 주장의 전제의 근거를 경험적으로 검증해보기 위한 시도이다. 허먼(Herrmann)의 국가 이미지 이론(national image theory)에 기초하여, 한국인들이 가진 북한의 이미지는 무엇이며, 그 이미지의 차이가 정말로 극단적인 정치적 갈등과 불신을 초래할 정도의 것인지를 여론조사 자료를 분석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이념과 정당일체감, 지역주의는 북한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통일효용성은 북한 이미지에 상당히 영향을 미치고 있어, 통일과 북한에 대한 실용주의적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우파 권위주의 성격(right-wing...
[학술논문]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와 민족문화축제
이 연구는 미국의 로스앤젤레스 다음으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코리아타운인 중국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과정을 지역 민족언론(예,『요녕조선문보』 등)과 선행연구, 서탑지역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인터뷰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심양 서탑의 한인사회는 1910년경에 확립되었는데, 약 50여 한인가정이 살았다. 1922년에는 봉천(심양)의 서탑지역에는 401가정 1,902명의 한인들이 살면서 점차 정미소를 비롯한 다양한 상점들로 조선거리를 형성했다. 그러나 1945년 8월15일 해방 이후 많은 조선인들이 한국으로 돌아갔으며, 1948년 11월 심양이 공산당 정부에 의해 해방될 때 서탑의 조선인상점은 규모가 작은 31개 상점만이 남았다. 1980년대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이후, 서탑의 조선족거리는 새로운...
[학술논문] 국어학의 남북 공동 연구를 위한 전제와 실제
This paper is written out with the object of finding the common projects between the South and North Korean scholars to parpare the unification of two states. To achieve the purpose, the scolars should recognize the following ones. 1. The true nature of the people is common. 2, The rational nationalism should be obeyed 3. Everyone should accept the varieties of the existence and respect each o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