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행하는 자와 세 개의 지도:오다 마코토의 아시아․아프리카 그리고 한국과 북한
전후 일본에서 제국-식민지 경영의 역사가 봉인, 왜곡되는 데 지식인 집단이 대거 동참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그러나 예외적인 시도가 전무한 것은 아니어서 한반도 혹은 조선을 일방적인 망각이나 회피가 아닌 대면해야 할 상대로 삼았던 일련의 지식인들 역시 존재했는데 오다 마코토가 그중 하나다. 이 글은 오다 마코토의 한국․북한 방문기를 전후 일본 지식인의 세계인식-자기인식-타자인식이라는 문제계에 놓고 독해한다. 한국․북한에 대한 시선은 일본, 미국, 중국 등의 로컬들 그리고 보다 상위의 아시아 지역, 그리고 세계전체에 대한 인식과 긴밀하게 연관되어 있다. 오다 마코토의 한국-북한 인식의 핵심은 현지주의와 현재주의로 요약할 수 있다. 현지주의와 현재주의는 그가 즐긴 여행이라는 세계발견의 형식과 맞닿아 있다. 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