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초기 육군 간호장교 역할과 인력수요 추계
Purpose: This study was to predict the healthcare service in need, develop anticipated roles of ROK army nurse officers and estimate the demand for their workforce during the early stage of a Korean reunification. Methods: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was carried out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he North Korean health status, predict the healthcare service to be delivered and ROK army nurse
[학술논문] 통일 이후 북한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 수급 추계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통일 이후 남북한 건강격차를 비용 효과적으로 해소하기 위하여 북한지역에 지역사회 기반의 일차보건의료를 제공할 수 있는 적정 일차간호인력의 수급을 추계하고 공급방안을 제안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북한의 간호인력 양성체계와 수급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재북 당시 간호원으로 근무한 경험이 있는 6명의 북한이탈주민을 면담하였다. 면담과 문헌고찰 결과를 기반으로 통일 이후 북한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의 수급을 추계하였다. 연구결과: 북한 간호원은 2년 교육과정의 간호학교와 6개월 교육과정의 군 간호원 양성소에서 매년 2,100~2,700명의 간호원을 양성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통일 이후 북한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은 84,160~105,200명이 필요하고, 공급에 있어서는 31,586~52,626명이
[학술논문] 북한이탈 여성의 자궁경부암에 대한 인식 : 포커스그룹 면담
Purpose: This study explored the perceptions of cervical cancer among female defectors from North Korea. Methods: A qualitative method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was employed. Thirteen participants who were older than 20 when they left North Korea were recruited through a church-based community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3 focus group interviews conducted in July 2021 after obtaining written
[학술논문] 통일 이후 북한 지역 적정 일차간호인력 수급 추계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estimate supply and demand for nursing workforce to provide community-based primary healthcare in the North Korean region to cost-efficiently narrow the health gap between the two Koreas in case of a Korean reunification. Methods: To understand the nursing education system and current state of nursing workforce in North Korea, the authors interviewed six North Kore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