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체계이론으로 본 북한 이주민의 서구 국가 이주 요인: 영국과 캐나다 사례 분석
...인정하고 수용해야한다’는 국제규범이 등장했기 때문이다. 정치적 구조 요인은 수용국의 제도, 송출국의 내부 환경 등과 연관된다. 북한 난민 수용이라는 규범의 확산으로 서구 국가 내 북한 이주민의 난민 신청 심사가 비교적 쉬웠던 점, 난민에대한 여러 가지 지원 정책은 북한 이주민의 이주를 촉진했다. 서구 국가에서 이민통제가 강화되는 흐름 속에
난민
심사도 어려워지면서 이주는 억제되었다. 송출국인 한국 내 차별적 담론 형성, 지원 정책의 결함 등은 이주 촉진 요인으로 작용했다. 사회적 동학 요인은 가족과 공동체, 이주산업, 이주 행위자 요인과 관련된 것이다. 북한 이주민의 서구 국가 이주에 사적 네트워크와 이주 브로커가 많은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이주행위자의 동기 관련해선 한국사회에서의 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