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관광의 협력과 공생의 초협력을 위한 접경지역의 역할 연구
관광한국의 협력과 공생의 초협력을 위한 남북한 경제협력사업공간으로 새롭게 조성할 남측 접경지역의 기초를 대립과 갈등, 분열이 아닌 초협력에서 찾아야 한다는 관점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이것은 기본적으로 인간과 생명체의 본성이 사실은 희생하고 협력하면서 발전해왔다는 사실을 남북한간의 관계에 적용하여 남측 접경지역에 새로운
남북경제협력공간 조성을 제안한 것이다. 이것은 사실 두 가지 관점에서 논의의 시작이 되었다. 첫째, 과거 진행되었던 개성공단의 모델은 공단이 북측에 조성된 관계로 남북관계가 좋을 경우는 관계없지만 정치⋅군사적으로 갈등이 발생했을 때 북측의 일방적 근로자 철수나 남측 기업의 재산 압류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할 수 없다는 문제점 때문이다. 둘째, 과거 무역도시가 국가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