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민법의 통합을 위한 북한민법의 수용가능성과 한계 - 총칙(일반제도)을 중심으로 -
...논문은
남북한
민법의 총칙을 중심으로 그 유사점과 차이점을 비교하고,이를 토대로
남북한
민법의
통합에 있어서 북한
민법의 수용가능성과 한계를밝히고 있다. 통일
민법은
남북한의 정치적 합의와 통일방식에 따라 그 구체적 내용은가변적일 수 있으나, 우리 헌법의 자유민주적 기본질서 및 시장경제질서와 이를 토대로 한 사유재산권존중 및 사적 자치는 양보할 수 없는 본질적인 가치라는 점에서, 이를 기초로 하고 있는 우리
민법이 통일
민법의 대본이 되어야한다는 것은 자명하다. 따라서 북한
민법에 있어서, 생산수단에 대한 사회주의적 소유의 원칙 등을 기본원칙으로 하는 것, 불법원인급여에 대한 국가귀속을다루는 것, 국가소유재산의 반환청구권에 대해서 시효의 적용을 배제하는 것등은 수용할 수 없는 한계이다. 그러나 북한
민법이 법인격평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