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역사교육과 문학교육의 내적 상관성
...『혁명력사』교과서, 김정숙 『혁명력사』교과서라 말할 수 있다. 남한의 경우와 특히 다르게 차별화되는
내러티브
서술이 더욱 두드러지는 것이 북한의 근현대사교육, 즉 『혁명력사』교과목이다. 소학교 근현대사교육에서는 문학교육의 강력한 자장(磁場) 내에서 허구적 서사교육이 시행되고 있었다. 결국, 북한의 근현대사는 실질적으로“허구적 사실들(소학교)⟹허구적 사실들 +실제 발생한 사실들(중학교)”로 교육되고 있고, 이것이 북한 인민들의 ‘정치적 환영’ 내지 ‘허상의 이데올로기적 이미지’들을 주조하고 있으며, 이것은 ‘문학교육’에 기반하는 내러티브
서술방식에문학의 허구성이 가미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남한의 경우와 달리 사회교과서가 부재한 것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