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소유 없는 경쟁 - 북한 초기의 노동 개념과 이북명의 「노동일가」(1947)
...절대적 과제를 완수하기 위해 사회의 모든 역량을 총동원하는 체제를 놀랄 만큼 빠른 속도로 형성해갔다. 강렬한 자발성을 전제한 이 특이한 총동원체제는 ‘보상’과 ‘비판’이라는 기제를 작동시키며, 경제적인 것과 정치적인 것, 그리고 노동규율과 사상성을 뒤섞고 모든 인민을 ‘근로자’로 만드는
노동
국가를 형성해 갔다. 이북명의 「노동일가」는 이 ‘국민개로(國民皆勞)’의 체제 위에서 노동하는 모두가 높은 생산성, 창의성, 충성심의 본보기를 좇도록 닦달당하는 경쟁이 어떻게 동원과 모순되지 않고 작동하는가를 보여준다. 그 경쟁의 형태는 ‘소유 없는 경쟁’이라 표현할 수 있다. 하지만 노동국가가 노동자의 국가는 아니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