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엔 지속가능발전목표(UN-SDGs)를 고려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 방향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입각한 법제 통합 방향이라는 본질적·내재적 한계와 통일정책 방향성이 있다는 점을 유의하면서 협상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국제사회의 대북제재가 존재하는 국제질서의 현실을 감안하여, 남북한 환경분야 법제 통합도 ① 북한의 비핵화조치 이전 단계, ② 북한의 실질적 비핵화 돌입 단계, ③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 단계 등에 맞추어
단계적
접근법을 갖추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남북한 환경법제 통합작업은 전반적인 남북한 법제 통합의 맥락에서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에 남북한 법제 통합의 주무기관이라고 할 수 있는 법무부를 주축으로 하여 법제처, 환경부와 통일부 등이 참여하고, 민간 분야에서는 남북법제 통합전문가, 환경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구조로 통합작업의 추진 체계를 수립하는 방안이 바람직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