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역사소설 『울릉도』의 안용복 재현 양상
...유관하다고 볼 수 있다. 『울릉도』는 일본의 독도 침탈 행위에 대한 북한 체제의 대외적 관심과 북한 주민들에게 유포하는 역사교양 소설로서의 체제 내적 의미가 있다. 이런 점에서 이 소설로 인하여 남․북한이 영토문제에 대해 역사적 공감대를 지속적으로 형성해왔는가와 북한에서의 창작 배경 및 목적과 분리하여 논의할 필요가 있다. 『울릉도』의 주인공 안용복은
대마도주의 간계와 이에 결탁한 부패하고 무능한 관료로부터 시련을 겪지만 결국 울릉도에서 왜인을 내쫓은 영웅으로 기억한다. 동시에 안용복은 북한의 관료주의 병폐를 우회적으로 비판하는 역사 속에 ‘숨은 영웅’이다. 『울릉도』는 방대한 사료를 인용하면서 안용복의 도일 행위의 정당성을 뒷받침한다. 사료를 해석하는 작가적 논평은 북한 체제의 역사관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