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녹색담론의 정치경제: 녹색경제와 녹색성장을 중심으로
...하는 유일한
대외협력(유엔기구 등)로써의 출구전략, 세계 녹색무역
확대에 따른 필수참여문제, 그에 따른 실질적 이해관계 등 사이에서 태동하고 있다. 둘째, 북한이 국내적으로 주목하는 녹색전략들은 에너지 자급자족과 자원절약, 기후대응과 농업생태계 변화, 녹색생산구조 및 품질관리체계 구축, 녹색생활환경 구축과 관련된 분야들에 있다. 셋째, 특히 2021년 이후로 환경보호, 오염관리, 품질감독, 탄소배출, 녹색생산, 녹색생활환경 등과 관련하여 보다 제도적인 통제 및 제어를 내용으로 하는 법률개정과 녹색제도화의 강력한 움직임들을 보여주고 있다. 넷째, 이러한 북한 녹색전략의 긍정적인 방향성에도 불구하고 실효성측면에서 분명한 한계가 드러난다. 그것은 역시‘투자없는 계획’이나
대외
협력이 부재한 기술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