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으로 간 국문학자 신구현: 경성제대 출신 독학자에서 주체문예학자가 되기까지
이 글은 월북한 국문학자 신구현의 삶과 학문의 궤적을 통해 근대 한국 지식사의 단면을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12년에 태어나 2000년대까지 식민과 해방, 분단과 냉전을 가로지른 신구현의 일생은 근대 한국 지식의 굴절과 변형의 양상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글은 우선 경성제대 시절 예과 11회 동기생들과의
독서회 활동, 졸업후의 조선어학회 경력과 임화가 경영한 학예사에서의 『역대조선여류시가선』 출판, 조선공산당재건운동 사건으로 투옥되었다가 출소하여 정양 중에 해방을 맞이한 신구현의 식민지 시기의 삶과 학술적 이력을 검토하였다. 해방 이후 신구현은 원산 노력자 정치학교교장으로 근무하다가 김일성종합대학 설립과 더불어 교수로 임용되었다. 임용 이후 그는 김일성종합대학교 교직원 세포위원회 위원장, 조선어문연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