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사 기초사료의 디지털화와 활용 - 국사편찬위원회 북한 자료 DB 구축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
디지털
역사
자료의 시대는 북한 자료에도 적용되고 있다. 소장 자료의 목록 제공과 원문 이미지, 텍스트까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서비스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는 언제 어디서나 북한 자료 활용이 가능해졌다는 것이고, 풍부한 북한자료를 활용하여 다양한 연구 성과를 낼 수 있는 환경에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자료들이
디지털화 되어 있고, 각 기관의
디지털 자료 구성이 어떤 방식으로 구현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 작업은
디지털
역사
자료를 이용하는데 기본 전제가 된다.
디지털
역사
자료는 제공하는 기관마다, 플랫폼의 성격에 따라, 그 제공 방식이 다양하다. 따라서 사이트별 제공 자료의 구성과 특징을 파악하는 것은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자료를 효율적으로 이용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면서 북한사 기초사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