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45~1946년 북한의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과 혁명동력의 설정ㆍ배제
...그러나 북한의 정치질서는
모스크바
3
상회의 결정을 계기로 근본적으로 변화하였다. 소련군사령부는 북한의
3상결정 지지세력을 결집하고 반대세력을 억압하였다. 이와 함께 북조선행정10국은 1945년 12월부터 내부의 검열사업을 통해 전체적으로 반혁명세력을 축출하였다. 행정10국에서 혁명의 동력으로 설정한 세력은 사상심사 통과자, 친소ㆍ친공세력, 노동자ㆍ농민계급이었다. 반면에 혁명의 동력에서 배제한 세력은 친일파, 반소ㆍ반공세력, 지주ㆍ소시민이었다. 부르주아민주주의혁명의 동력은 정치사상과 정치적 태도를 기준으로 설정되었다. 북한의 공산주의자들은 해방 직후에 다양한 계급과 계층을 포괄해 혁명동력을 폭넓게 구상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모스크바
3
상회의 이후 임시정부 수립문제가 본격적으로 논의되자
3상결정 반대세력과 반혁명세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