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민 ‘여’배우의 탄생 - 해방-전쟁기 문예봉의 활동에 대한 소고
본고는 일제 말기 선전영화의 ‘꽃’이었던
문예
봉이 월북 이후 최초의 ‘인민배우’로 안착하기까지의 과정을 조명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북한 최초의 예술영화인 「내 고향」(1949)을 비롯해 「용광로」(1950), 「소년 빨치산」(1952) 등의 출연작을 분석하며, 부정해야 했던 일제 말기 선전영화 속
문예
봉의 이미지가 해방 후 어떻게 반복, 변주되고 있는지를 논의한다.
문예
봉은 월북 이후 매체 기고를 통해 북로당의 입장을 적극 강변하면서 강도 높은 사상성을 피력하는 동시에, 스크린 위에서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인고하는 병사의 연인이나 헌신적인 어머니 역할을 맡으며 기존의 스타 이미지를 이어간다. 이 과정에서 조선인 지원병 대신 인민 혁명군의 연인으로, 황국신민을 꿈꾸는 소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