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코리아 문학 통일과 디아스포라 담론의 욕망― 연변 문예지의 매체사적 쟁점
...동등한 소통을 제안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문예지 《연변문예》(1951), 《천지》(1985), 《연변문학》(1998)의 통시적 계보와 쟁점을 분석하였다. 또한 잡지 미디어 콘텐츠의 매체사적 쟁점을 공시적으로 분석하여 조선족문학의 민족지적 정체성을 탐색하였다. 그 결과 연변 문예지가 사회주의적 선전지로 출발했지만, 연변의 민족문화유산 교양과 조선족의
문학적
정체성, 그리고 친북한에서 친남한으로 대외관계가 변화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연변 문예지의 정체성은, 중국 당국의 정책 선전지라는 기본 전제 위에 ‘(중)조선족-(북)조선-(남)한국’을 문화적으로 소통하는 창구 구실도 있겠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조선족의 문학적 독자성이다. 가령 김일성이 창작했다는 북한의 혁명가극 피바다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