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남북한 통일 과정에서 필요한 디자인정책 연구
...상반기까지 국내 총 170여개의 관련 연구 자료들이 수집되었다. 이 선행연구들의 주제어를 종합분석하면, 북한미술에 대한 개관(槪觀)을 설명한 것이 전체 25%로 주를 이룬다. 또한 북한의 문예이론 및 미술이론(17.6%), 미술교과서 및 미술교육(10%), 예술가 및 단체(9.4%), 미술역사(7.7%), 미술작품(7%), 문예정책(5.3%), 전통미술 및
문화재(5.3%), 기타(12.7%) 순으로 주제를 다루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남측의 북한미술 연구는 해방이후 60년대까지 북한예술의 동향과 작가들에 관해 연구하였고, 70년대는 북한미술의 이데올로기에 대한 연구를, 80년대는 북한미술 특성 분석과 남북미술 비교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관찰되었다. 2000년대 초반에는 남북관계의 진전에 따라 북한미술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