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민족담론의 긴장(緊張)과 ‘두 국가론’
...민족 담론은 사상성(혁명 민족의 실체 발굴), 영속성(고려 민족의 영토성 발굴), 투쟁성(저항 민족의 역사 소환), 정통성(
민족
문화의 우수성 건설)이라는 4개의 기둥으로 재건축됨에 따라 남북 간 민족의 이질성을 심화시킨 실체를 낳았다. 둘째, 북한 민족 담론의 오류는, 분명 하나의 민족에서 소환되었으나(사상이나 체제, 이념, 계급 위의 민족 설정), 점차 단계적으로 대중 정치화에 역이용됨으로써 내적 주체와 외적 적대를 구조화하고 그 경계에서 민족의 내부 갈등을 격화시켰다는 데 있다. 셋째, 현재 북한에서 진정한 민족개념은 문화적·정서적 테두리 내에서만 유지될 뿐(민족
유산과 민속), 한민족의 정체성은 국가주의(국가제일주의와 두 국가론)가 대체하고 있다. 다음으로, 남북관계에서의 몇 가지 문제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