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평안남도 중화지역 3․1운동의 전개와 참여자 분석
...사실상 3월 초에 집중되어 있었다는 점에서 지속기간이 비교적 짧았다. 셋째, 천도교 및 기독교와 밀접한 관계 속에서 운동이 촉발․전개되었다. 넷째, 대한제국기 이래 자행된 일제의 각종 침탈이 중화지역 3.1운동의 주요 원인이 되고 있었다. 다섯째, 국권회복운동이 중화지역 3.1운동의 내부적 추동력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여섯째, 파리강화회의에서 제창된
민족
자결주의가 외부 요인으로 영향을 끼치고 있었다. 일곱째, 확인되는 수형자(受刑者)의 75% 이상이 농민이었다. 3.1운동은 일제강점기 민족최대의 독립운동으로 지금까지 수많은 연구를 산출해낸 주제였다. 하지만 한강 이북, 즉 북한지역의 3.1운동은 남한지역에 비해 연구가 부진했으며, 이는 본고의 주제인 평안남도 중화지역 역시 마찬가지였다. 이 같은 취지에서 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