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민족의 해체 시대에 남북 분단의 고착화의 극복과 통일을 이루는 한국 신학으로서 통일신학의 길 모색
...지난 20세기 동안 한반도에서 자라난 종족 민족주의에 대한 환상과 그에 따른 남북통일에 대한낭만적인 생각에 대한 실질적인 비판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한반도 분단체제를 극복하기 위한 길로 민족 개념의 유효성을 바탕으로 낭만적인 통일의 길의 한계를 지적하고, 보다 실질적인 길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첫째, 본 글은 현재 한국에서 민족 개념에 대한
박찬승, 백낙청과 신기욱의 인식을 살피고 민족 개념의 유효성을 해명한다. 이들은 3 ․ 1운동을제국주의적 민족 개념과 구분되는 민족 자주와 해방을 지향하는 민족 정체성의 근간으로 이해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한반도 분단의 상황에서 민족 담론의 의미를 분명히 드러내고 있다. 또한 이는 종족 민족주의 한계를 머무르지 않는 특징을 보인다. 1919년 일제 강점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