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6·25전쟁 기간 유엔군사령부와 조중연합군사령부 수립에 관한 비교연구: 남·북한의 작전지휘권 이양을 중심으로
...거절하며 스탈린의 지시 이후에야 비로소 마지못해 이양하게 된다. 따라서 무엇이 이러한 차이를 유발하였는지 이해하기 위해 국가 간 정치적 목적과 가치의 일치 여부, 피지원국 지도자의 국내적 안정성, 피지원국 지도자의 지원국에 대한 인식을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승만의 유엔군에 대한 작전지휘권 조기 이양은 대한민국과 미국 및 유엔 회원국들과의
반공이라는
국가 정치적 목표 일치와 인류 평화 및 자유 민주주의 수호라는 동일한 가치 추구의 결과였다. 또한 반공 이데올로기를 통해 이승만의 정치적 안정성을 보장하였으며, 이승만의 미국에 대한 용미 인식은 작전지휘권 이양에 있어 주저함이 없도록 작용하였다. 반면 김일성의 작전지휘권 이양 지연은 소련, 중국, 북한의 3자 관계에서 전쟁계획과 참전에 대한 서로 다른 정치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