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의 발해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자기가마터가 대표적이다. 발굴현황을 살펴봤을 때, 북한지역
발해
유적은 알려진 곳에 비해 실제 발굴된 유적은 매우 적으며, 발굴조사역시 고분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양상이다. 또 지금까지 알려진
발해유적 중 그 성격의 재검토가 필요한 유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적조사에서 드러나는 몇 가지 문제점, 즉
발해
유적으로 알려진 고분의 성격 문제, 성곽유적의 위치추정 문제, 유적분포와 발해의 남쪽 경계 문제, 발굴조사와 그 보고 과정에서 확인되는 문제 등을 점검하였다. 또 향후 북한지역
발해유적 조사 및 연구 방향을 자료확보 방안, 유적의 정보와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공동연구및 조사 방안 등을 제언해보았다. 이상에서 확인한 대로, 북한
발해
유적은 아직 미발굴된 곳이 더 많으므로, 더욱 활발한 발굴조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