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의 행정상 불복방법에 관한 연구 - 국내 행정쟁송 제도와 북한 신소청원법의 비교를 중심으로 -
...규정을 반영하는 방법이 가장 빠를 수 있으나, 어느 때 느닷없이 찾아올 수 있는 통일에 대비하기 위한 가장 좋은 참고로 동독-서독의 통일 전후 법제들이나 남예멘-북예멘의 사례가 선례로서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통일조약이든 통일준비위원회든 어떠한 형태든지 통일 준비과정 중 발생할 갈등을 최소화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행정상 불복방법의 통합을 모색하고 북한 주민들의 행정쟁송에의 적응을 준비하는 것에도, 결국에는 자유민주적 사회질서를 반영한 통일국가를 표방한다면, 현재 대한민국에 마련된 행정상 불복방법을 적용하되
법적 지위가 변모했다는
동화
과정을 위해 조약이나 위원회를 통한 조율 과정, 그리고 북한 주민들의 행정상 불복방법에 대한 법의식 및 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