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이탈 청소년의 외상사건 경험 및 외상 후 성장 연구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었다. 일부 청소년의 경우 정서지원, 교육지원 등 제도적 지원경험이 있었으나, 관련 종사자의 잘못된 지도로 오히려 부적응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질적 연구에서는 앞선 양 적 연구에서 검증된 외상 후 성장의 유형별 특징과 성장의 결정요인을 설명·확증할 수 있었다. 여섯째, 성장의 결정요인 중‘
부모애착’과 ‘외상사건 개방경험’의 경우 양적·질적 연구 간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양적 연구결과, 두 변인은 성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으나, 질적 연구결과, 부모-자녀 관계가 긍정적이고, 외상사건에 대한 노출 및 개방성이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차이는 후속연구를 통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