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통일한국을 위한 남북한 음악교육의 비교연구
...연구의 목적은 남북한의 음악교육을 비교하여 통일한국사회의 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탐색하는 것이다. 남북한 음악교육의 공통점은, 남북한이 민족주의교육과 전인교육을 추구하고, 음악교육에서 인간의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는 기초지식과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차이점으로는, 남한은 민주주의 교육이념을, 북한은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을 이념적 기초로 수령과 당에 충직한 공산주의 혁명가를 양성하는 데 둔다. 또한 음악형식에 있어 우리는 유절가곡 형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북한음악의 기본형식은 절가형식으로 완결된 선율이 반복되면서 가사 내용의 변화발전에 따라 형상이 전개되어간다. 인성교육에 있어서 우리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방법에 의하지만, 북한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학술논문] 한국 선법 연구의 두 가지 접근 양상
... 있거나, 동일 개념을 다른 선법 용어로 설명하는 경우가 있다. 실용적 접근방법에서는 주로 서양 계명(階名)을 이용한 다섯 분류방법을 사용하였고, 리창구는 궁조(宮調) ․ 상조(商調) ․ 각조(角調) ․ 치조(徵調) ․ 우조(羽調)로 설명하였다. 이 연구방법은 “왜 국악을 서양음악이론으로 설명하는가?” 하는 본질적인 질문을 유발할 수 있다. 사실 국악선법을 한국의 고유 방법과 용어로 설명할 수 있다면 최상이지만, 전통 국악용어에 선법 관련 용어가 없는 것이 많아 어려움이 많다. 국악인을 비롯한 많은 사람이 서양음악 교육을 받았기 때문에, 서양 계명을 이용한 선법명(旋法名)을 사용하는 것이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학술논문] 북한의 1학년 ‘음악’ 및 ‘음악무용’ 교과서 내용 비교를 통한 교과서의 변화 양상 연구
최근 들어,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수십 년 동안 변하지 않았던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은 많은 변화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동안 북한의 학교 음악교육과 음악교과서 관련 연구들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왔지만 대부분 2002년까지 발행된 음악교과서를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다. 본 연구는 1학년을 중심으로 2002년과 2007년에 발행된 ‘음악’ 교과서와 교과목 명칭의 변경 후 2013년에 발행된 ‘음악무용’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비교하여, 그간 북한 음악교과서에 나타난 변화의 흐름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인민학교와 소학교 1학년 ‘음악’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고, 김인선(2016)이 연구한...
[학술논문] 남북 주민의 정서 소통 기제로서 대중가요
...조치는 기존의 주체문예정책과 크게 어긋나므로 주민을 이해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이 있었다. 대중 잡지를 통한 홍보와 학교 현장에서의 음악 교육이었다. 그리고 해금 이후 ①자료 발굴, ②노래의 특성과 음악사적 지위 논증, ③이론 및 자료집 출판 보급이라는 3단계로 적극적인 지원 사업을 벌인다. 계몽기가요와 더불어 남한의 대중가요는 북한 유흥문화의 틈새로 자리하면서 정책의 변화를 끌어냈다. 남한의 대중가요의 비공식적 전파 통로는 ①연변 조선족들에 의한 전파, ②라디오를 통한 전파, ③대북방송을 통한 전파 등이다. 공식적인 통로는 남한 방송사에서 기획한 방북공연을 통한 전파이다. 북한 당국은 주민들 사이에서 남한의 대중가요가 음성적으로 확산되자 해방 전 대중가요는 계몽기가요에 포함하여 민족수난기 민족문화유산으로 적극적으로...
[학술논문]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 및 음악교육 실태조사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의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과 새터민 인터뷰를 통하여 북한의 음악교육을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통일교육에 대비하는 밑거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북한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첫째, 외형체제 면에서는 모두 동일한 판형을 가지며 삽화나 사진 등은 거의 찾아볼 수 없고 종이 재질, 잉크 상태 등은 질이 낮고 불량하였다. 둘째, 내용체제 면에서는 가창영역과 시창영역의 비중이 높고 가사 내용은 김일성·김정일 부자 찬양, 조국찬양, 충성에 관한 내용이 많았다. 그 외 기악영역, 이론영역 등은 내용이 적어 실질적으로 학습되어진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셋째, 인터뷰결과 북한의 교육시스템은 남한과 비슷하게 구성되어있지만 시설낙후, 경제적 어려움 등으로 인해 교실 내 악기보급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