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
본고는 북한문학에서 항일혁명문학의 전범을 보여준 작품으로 평가된 조기천의 장편서사시『白頭山』의 창작토대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었다. 『백두산』창작토대에는 趙基天의 문학 활동, 항일혁명의 영웅적 활약상을 형상화했던 재소 고려인문단의 특수성, 소련문학의 영향 등이 작용하였다. 항일혁명의 전설적인 영웅을 형상화했던『홍범도』 는 실제『백두산』작품과 여러 면에서 매우 유사했다. 그리고 조기천이 소련에서 문학 활동을 전개하던 시절 유행하고 성행했던 서사시나 장편서사시, ‘뽀에마’ 등은 마야코프스키 시와 결합하여『백두산』이 창작된 토대로 작용하였다. 『백두산』의 창작토대에 마야코프스키의 시풍과 작시법이 작용한 것은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나, 조기천은 마야코프스키 시를 주체적으로 수용하고 변용, 변주하여...
[학술논문] 북한문학의 민족주의적 성격 연구-민족해방서사의 주인공과 그 변모를 중심으로
...차원에서 해방의 기원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양자 사이의 힘의 비대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유일한 가능성, 민족을 단결시키고 민족의 에너지를 투쟁과 건설에 집중시킬 수 있는 ‘위대한 지도자’의 존재에 주목하지 않을 수 없었다. ‘위대한 지도자’의 존재는 민족해방서사가 작동하기 위한 기본적인 조건이었던 셈이다. 조기천의 서사시 <백두산>은 이 ‘위대한 지도자’의 존재를 그린 최초의 예이다. 여기에서 그려진 김일성의 형상은 실제의 김일성을 능가하는 것으로 간주되었다. 이는 건국을 위해 민족의 에너지를 집중해야 할 당시의 일반적인 분위기 속에서 이러한 미학적 ‘과장’은 혹은 정치적 진실성이 반영된 것으로 당연시되었다. 그리고...
[학술논문] 한국 근대시와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서도’ 로컬리티 - 1920년대 시형식의 변화와 시적발화를 중심으로
...근대적 요소에 기여한 감정의 적극적 발화와 시어, 운율 등은 서도의 풍습, 음악, 언어와의 관련이 깊다. 주요한의 경우는 최초의 자유시 『불놀이』로 표출된 근대시형식이 ‘(엮음)수심가 토리’의 형식과 유사한 바가 규명되었고, 김동환의 『국경의 밤』은 대륙과 접한 서도지역의 활달한 기개와 특유의 함경도 언어를 활용하여 ‘서사시’라는 새로운 시형식을 탄생시킨 것으로 보인다. 셋째, 본 연구는 이 같은 내용을 토대로 1920년대 한국 근대시의 서도 로컬리티가 지니는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의의와 가치를 재고해 보고자 했다. 요컨대, 서도 로컬리티’는 근대시의 표상공간으로 새롭게 인식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본고를 통해 1920년대 시인들의 근대적 시도들이 서도...
[학술논문] 주체사상 시기 북한 ‘사회주의건설주제작품’의 역사적 변모양상 -1960~1990년대 북한 서사시를 중심으로-
주체사상 시기에 북한에서는 서정시 못지않게 서사시가 많이 창작되었고, 서사시의 문학사적 위상 또한 높다. 과거의 역사적 순간과 결부된 형식인 서사시 장르가 오늘날 북한사회에서는 왜 부활하고 있는가?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서는 북한 서사시 작품과 북한 사회구조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보아야 한다. 이에, 필자는 주체사상 시기 북한의 서사시 가운데 ‘사회주의건설주제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 서사시가 북한의 현실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밝혀보았다. 그 결과 주체사상 시기에 창작된 북한의 ‘사회주의건설주제’ 서사시의 특징으로서 다음과 같은 내용을 도출하였다. 첫째, 존재하는 현실을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원하는 현실’을 반영한다. 현재의 재구성을...
[학술논문] 북한의 항일서사 연구시론
북한문학에 있어서 항일투쟁문학은 김일성의 정통성과 관계되는 부분으로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주체시대에 항일투쟁문학은 문학의 주요흐름으로 자리 잡았다. 사실 북한의 항일투쟁문학은 해방공간에서부터 시작되어 주체시대에 들어서서 고조를 이루었다. 즉 해방공간에 있어서 '김일성장군의 노래'는 그 서곡을 이루었고 “백두산”은 ‘영웅서사시’를 형성했다. 주체시대에 있어서는 “불멸의 총서” 해방 전 편 ‘항일투쟁편’을 창작하여 김일성의 항일서사를 전면적이고 체계적으로 진행했다. 본고는 해방공간과 주체시대에 있어서 김일성항일서사를 고찰했다. 즉 해방공간에 있어서 김일성을 건국의 주인공으로서 ‘영웅서사시’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