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완화를 위한 새터민의 음악사용
...분석 결과 설문에 참여한 모든 새터민이 외상사건에 직·간접적으로 노출된 경험이 있으며 이 중 32%가 하나 이상의 PTSD 관련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참여자는 일상 뿐 아니라 PTSD 증상완화를 위한 음악활용의 필요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데 38%만이 일상 속에서 활용하는 반면, 75%는 PTSD 증상완화를 위해 음악을 사용하고 있음을 보고하였다. 새터민들은 감상 위주로 음악을 접하지만 노래 부르기도 활용하였으며 음악활용의 목적으로 정서 안정과 환기를 가장 중요하게 평가했다. 보편적으로 남·북한 노래들을 모두 언급하였고 다양한 선곡의 이유와 고려사항들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앞으로 새터민을 위한 음악의 치료적 활용에 있어 중요한 기초자료로써 의의가 있다.
[학술논문] 통일한국을 위한 남북한 음악교육의 비교연구
...전인교육을 추구하고, 음악교육에서 인간의 가치 있고 보람 있는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는 기초지식과 능력을 키워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차이점으로는, 남한은 민주주의 교육이념을, 북한은 사회주의와 주체사상을 이념적 기초로 수령과 당에 충직한 공산주의 혁명가를 양성하는 데 둔다. 또한 음악형식에 있어 우리는 유절가곡 형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북한음악의 기본형식은 절가형식으로 완결된 선율이 반복되면서 가사 내용의 변화발전에 따라 형상이 전개되어간다. 인성교육에 있어서 우리는 자유롭고 개방적인 방법에 의하지만, 북한은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의도하는 목적을 달성하고 있어 음악교육의 철학과 목적에 있어서 서로 접근이 어려운 점을 보게 된다. 하나의 민족으로서 이해와 화합을 추구하는 공동체의식을 심어주는...
[학술논문] 북한의 음악사 인식 기조와 기술(記述) 양상 분석-리차윤과 리히림의 논저를 중심으로-
... 시가, 향가, 고려가요 및 기타 시가(詩歌)를 포함하여 가곡, 가사, 시조, 잡가, 판소리까지 도시가요, 참요, 풍요, 세태민요, 도시 서정가요, 노동민요, 직업민요 등으로 그 범주에서 실존과 의미를 부여한 점은 괄목할 만한 점이다. 둘째, 북한에서 기술된 음악사는 우리와는 사뭇 다른 사관에서 맥락을 꾀했지만 남한의 음악사 연구에 시사하는 바가 있다. 남한에서 쓰여진 음악사는 조선후기의 역동적인 사회 변화와 그에 조응한 민속 음악의 입체적인 동향을 충분히 담아내고 있지 못하다. 그에 비해 북한 학자들은 봉건시대를 벗어나 새로운 시대로 전환되는 이 시기에 피지배층들이 음악 역사의 주체로 활약한 그 결과물로서 다양한 음악 및 예술 양식들을 해석, 기술하고 있다.
[학술논문] 한국전쟁 직후 남북한 전통음악연구 배경과 양상
... 방법에 의한 고분벽화(古墳壁畵)의 악기와 연주도(演奏圖) 분석을 통해 고대음악사를 해명하려했던 경향이 두두러졌음을 알 수 있었다. 동시에 『악학궤범』(樂學軌範) 영인과 번역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초기에 있었던 고악보에 대한 주제보다는 현장연구에 바탕을 둔 창극(唱劇)과 민요 등 민속악에 큰 집중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술논문] 북한 소재 고악보와 고악보 인식 연구
본고에서는 한국음악사학 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라 할 수 있는 고악보에 대해 북한의 소장 현황과 그에대한 고악보 인식을 살펴 보았다. 남한에서 발견되지 않은 북한 내 고악보는 『아양진결(峨洋眞訣)』, 『휘어(徽語)』, 『순전여음(舜典餘 音)』 등이 있다. 『회상곡(會象曲)』, 『여민락(與民樂)』, 『영산회상현금곡(靈山會象玄琴譜)』, 『금법수지(琴法須知)』, 『양금보』 등은 악보명으로만 보아서 남한의 동일한 악보와 이명동본인지, 완전히 다른 악보인지 알 수 없다. 그리고 북한의 음악사 서술 및 고악보 연구에 있어 참고 악보로 사용한 여러 고악보 중 『세종실록』,『세조실록』은 원본이며 기타 고악보들은 필사본으로 존재하거나 남한의 연구물들을 입수하여 활용하였을 것으로 본다. 문하연은 모두 17종의 고악보를 소개하였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