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질병으로서의 자본주의: 북한의 “반(反)자본주의” 통치담론
...구성된 통치담론의 한 단면을 포착하고 그 성격을 규명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중상주의론과 조합주의, 가산제라는 개념과 이론을 각각 도입하여 북한의 국가전략과 통치체제를 규정한다. 그리고 북한의 국가전략과 통치체제의 성격은 시대에 따라 조합주의적 중상주의로부터 가산제적 중상주의로 변화했다고 보고 그에 따라 ‘반자본주의’ 통치담론이 어떤 내용과 형식으로 구성되었는지를 살펴본다. 분석대상으로 삼은 텍스트는 북한의 내부 강연제강 자료였으며 자본주의를 ‘질병’으로 은유하는 담론전략이 주요하게 포착되었다. 결론적으로 ‘질병의 은유’는 자본주의에 대한 공포와 혐오를 체화하도록 하는 것으로서 북한의 변화가 내적인 변질로까지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담론전략임을...
[학술논문]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으로 본 북한사회 내 정보 이동성과 커뮤니케이션 구조 분화
...더불어 북한의 대내외 경제 및 국제 환경 변화로 인해 북한 내외부 연결망에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참여함으로써 나타난 현상과 특징을 통해 블랙박스화된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를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의 관점에서 규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최근까지 북한사회 내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의 연결망을 추적하여 북한 커뮤니케이션 체계 속에서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사회 내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이 새로운 연결망으로 포획되면서 북한의 커뮤니케이션 구조와 일상에 다양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다양한 인간-비인간 행위자들은 생존 연결망, 경제 연결망, 정보 연결망과 상호 조응하면서 새로운 권력과 저항적 실천 담론을 생산해오고...
[학술논문] 북한 영화에 대한 젠더 접근법 모색
... 정책을 충실히 수행하는 이를 일컫는다. 젠더 문제는 ‘국가’ 차원에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는 북한 영화의 정치적 특성에도 부합한다. 북한 영화의 내용과 형식을 규제하는 것은 해당 시기의 통치 담론들을 젠더의 국가적 범주에 대입시켜볼 때 정치적 특성이 강한 북한 영화의 젠더 관계를 더 명료하게 살필 수 있다. 이 글에서는 국가적 차원의 젠더 기획을 분석하기 위한 다섯 가지범주(생물학적 국민재생산, 문화재생산, 시민권, 군대, 노동)를 김정일 시기 북한의 통치 담론과 연관시켜 소개하였다. 이들 범주는 각각 북한 영화의 젠더 연구뿐만 아니라 다른 예술장르의 연구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학술논문] 북한의 시장화와 통치 - ‘국가 대 시장’에 대한 대안적 접근의 모색
본 논문은 북한의 시장화에 대한 본격적인 분석을 수행하기보다는 시장화와 통치의 관계를 다룬 기존 논의구조에 일정한 재고를 요청하는 시론적 논의의 성격을 갖는다. 기존의 논의구조는 정치와 경제가 명확히 구분된다는 전제에 기초해 있으며, 북한의 시장화 또한 계획체계라는 정치와 경제의 통합메커니즘으로부터 시장 즉, 경제가 분리되어 국가와 대립하는 것으로 재조정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은 시장과 국가(정치)의 대립이라는 선험적 가정에 근거한 질문보다는 복잡한 세력관계와 권력의 통치기술들, 그에 따른 새로운 삶의 구조 및 주체성의 변형에 관한 문제를 다룰 필요를 제기한다. 이를 위해 담론과 공간전략 등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분할·배제의 장치들을 살펴볼 것을 제안한다.
[학술논문] 김정일의 ‘종자론’과 주체사상 ‘종자’화에 관한 연구
북한의 1970년대는 김정일의 주도로 주체사상의 체계화, ‘김일성주의화’, ‘온사회의 주체사상화’를 주장하며 주체사상의 일색화 투쟁으로 일관한 시기였다. 김정일은 이 시기에 이르러 이른바 ‘종자론’이라는 문예이론을 탄생시켰고, 이문예이론을 바탕으로 주체사상을 체제의 ‘사상적 알맹이’로 하는 주체사상을 ‘종자’ 화 하였다. 김정일은 또한 종자론을 정권의 세습체제 구축 이후에는 통치담론으로까지 발전시켰다. 이 연구는 김정일이 주체사상을 국가의 단일지도이념으로 ‘종자’화 한 과정과 목적, 그리고 그 배경적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김정일은자신의 후계체제를 공고히 해야 할 시점에서 ‘김일성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