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김정일 시기 북한영화의 젠더 담론 연구
...여성의 섹슈얼리티가 부각되고, 적군 중 하위 계층의 남성은 그 성을 탐하는 파렴치한이 되어 ‘파괴자인 적’과 ‘불결한 성’이라는 이미지를 연결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노동 범주에서는 ‘자력갱생’, ‘경제국방병진노선’이 제시되는 가운데 뚜렷한 성별
분업 양상, 경제개혁의 의지에 따라 달라지는 노동규율과 젠더 담론이 확인된다. 2000년대 초반 실리사회주의와 과학화가 강조되던 시기 보신주의에 빠진 인물은 대부분 2세대 남성 관료이며, 낡은 관습에 얽매인 부정적 인물은 대부분 20대 젊은 여성 인텔리들이다. 사회진출을 앞둔 남성들은 군 입대 문제로, 여성들은 대학 진학 문제로 각각 고민하고 갈등한다. 기혼여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