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사회적 평화’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 : 포퓰리즘과 포용의 평화 사회학
이 글은 평화의 사회적 토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정치외교적 비핵-평화 프로세스의 기저에 있는 사회경제적
불평등과 정치적 양극화의 문제를 검토하고자 했다. 통일이나 평화에 대한 지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단순히 진보나 보수라는 정치
프레임이나, 특정 세대의 문제가 아니라, 정치경제적 변동, 정치체제의 갈등 해소 방식, 중첩된 지역, 세대, 교육, 경제 격차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한국은 지난 20여 년간 지식경제로 이행하며 노동시장 이중화에 따른 소득양극화가 지속되었고, 제조업 기반으로 형성되었던 구중산층이 점차 사회변동에서 소외되며 포퓰리즘적 성향이 증가했다. 포퓰리즘적 성향은 그 사회의 교육 기회와 반비례하는데, 한국은 포퓰리즘 점수는 높고 교육기회 지수는 낮아졌다. 한편 한국이 단순 다수제, 대통령제하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