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여성의 어머니되기와 소속의 정치학
...구술생애사 방법을 통해 5명의 탈북여성들의 인터뷰를 해석하였다. 북한, 중국의 자녀들을 남한으로 데리고 온 경우, 탈북여성들은 남한의 시민권, 교육 기회 등 최대한 정책적 자원들을 활용하고자 하지만 이것은 다른 한편으로 북한이탈주민, 다문화가정 등의 하위 범주들 속에서 특혜와 낙인이라는
위계화된 이등시민의 위치가 되는 것을 경험하게 했다. 남한 통치 하에서 탈북 여성들의 어머니 노릇은 물질적, 제도적 자원을 획득하면서도 동시에
사회적 낙인에 대처해야 하는 정치적 행위였다. 북한과 중국에 자녀를 두고 원거리 어머니로서 삶을 지속하는 경우, 이들은 초국적 위치에서 북한, 중국, 남한의 세 지역의 자녀와 가족들의 관계를 동시적으로 조율해야 했다. 특히, 중국에 있는 자녀와의 관계는 난민이었던 때가 같이 여전히 모자 관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