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시장화와 신흥부유층의 소비문화 변화: 중국사례 비교를 통한 발전 경로 전망
...신흥 계층으로 부상하였고, 고급 소비재와 명품을 중심으로 외형적 과시소비를 하기 시작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과거 중국의 개혁·개방 이후 나타난 소비문화 변화와 유사한 흐름을 보이며, 단순한 생활수준 향상이 아닌 사회적 지위 표현과 계층 구별의 수단으로서 소비가 기능하게 되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자본주의사회에서 정립된 과시소비이론과 소비자이론을
사회
주의
국가 맥락에서 재해석하고, 중국의 사례를 토대로 북한 소비문화의 향후 변화를 단기·중기·장기적관점에서 전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북한 내 소비문화가 갖는 사회구조적 함의와 중국 신흥 부유층의 소비문화
발전
경로를 토대로 북한 소비문화의 단기·중기·장기적 변화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