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하나의 거대한 박물관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전국 각지에 박물관과 사적관이 들어서 있기 때문이다. 평양만 해도 수십 개의 박물관이 있고, 공장·기업소와 협동농장, 학교 등에도 사적관을 조성해 놓고 산 교재로 활용하고 있다. 전국의 박물관, 사적관이 생활문화 교양의 거점으로 활용되고 있는 것이다. 말 그대로 생활 속에 박물관이 있고, 박물관이 곧 생활인 나라가 북한이라고 해도 좋을 듯하다.
‘사회주의 조선’에는 사립박물관이 없다. 북한의 박물관·전시관은 총 300여 곳에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북한 각 도에 소재한 역사박물관은 현재 계획 중인 혜산박물관을 포함해 총 14곳으로 조사돼 있다.
박물관은 한 나라의 역사와 문화를 알 수 있는...
[정치/군사]
...건설의 역사를 정치적인 상황 속에서 분석하였다. ‘6.25전쟁’으로 폐회가 된 상황에서 새롭게 건설된 평양은 사회주의 도시 개발의 전형성을 보여준다. 평양 도시 건설에서 주목한 것은 정치성이었다. 평양은 오랜 역사와 문화를 간직한 도시였지만 새롭게 건설된 사회주의의 수도로 재건되었다. 평양의 중심부는 정치성을 상징하는 도시로 기획되었다. 평양의 심장부라 불리는 김일성 광장은 전형적인 극장 국가의 중심 공간으로 구성되었다. 평양의 도시 건설과 건축과 관련한 기본적인 원칙도 이 시기에 만들어졌다. 김정일의 ≪건축예술론≫은 도시 계획과 건축을 위한 규범이었다. 사회주의 도시로 기획된 평양은 이데올로기 경쟁 속에서 속도전으로 빠르게 건설되었다. 빠르게 변화되는 평양 변화는 새로운 시대의 비전이었고...
[학술논문] 교양교육 제재로서 북한 과학환상소설 역할 연구 -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수록본을 중심으로 -
본고는 북한 문예지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을 분석함으로서 과학환상소설이 가지고 있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북한 교육의 핵심은 사회주의 체제 유지 및 공산주의 인간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당이 발간하는 문예지를 이용한다. 북한의 대표적인 문예지는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이며 이들 문예지에 수록된 작품은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교육의 제재로 사용된다. 문예지에 수록된 다양한 장르 중 본고는 『과학환상소설』에 주목했다. 최근 북한은 당 정책을 통해 『과학환상소설』 의 창작을 독려하고 『과학환상소설』의 문예지 수록 비중을 늘리고 있는데 『과학환상소설』을 둘러싼 이러한 경향의 이유 및 과학환상소설이 가지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기 위해 북한의 3대 문예지인...
[학술논문] 이미지에 드러난 북한체제의 정치커뮤니케이션: 1950~60년대 포스터를 중심으로
...제작된 포스터(선전화) 200여점을 분석하여 북한인민의 생활미시사를 추적, 분석한다. 북한 현대사를 관통하는 정치적 사건과 경제적 주제들이 포스터에 어떻게 녹아들었으며 이것이 북한주민의 일상사에 주입됐는지를 실증적으로 검토하는 작업이다. 그 시기 포스터에 투영된 북한체제의 특징을 시각적으로 포착, 그것이 포스터에 어떻게 표현됐으며 인민들에게 전달됐는지를 사회주의적 사실주의(Socialist realism)의 기준에 대비하여 살핀다. 이는 북한 포스터가 갖고 있는 비주얼상 특징이 북한체제 전반의 과제를 담아냈는지를 인민의 생활 재발견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50~60년이라는 격동의 시기에 제작된 북한 포스터가 담고 있는 메시지와 특징이 당시 북한체제가 인민에 전하고자 하는 정치사회적 맥락이...
[학술논문] 북한 기록영화 <38선>의 영상기호 분석
...효과를 구사하기 위해 표현주의 영화의 제작방식을 일부 수용하였으며, 편집기법은 속도감 있는 편집기법으로 내용 전달을 위해서는 다양한 컷들을 사용하였다. 이와 더불어 현장음, 배경음악, 내레이션 등의 사운드 요소들을 적절하게 사용하고 있다. 정권 초기의 부족한 기술역량에도 불구하고 대중 교양에 힘을 쏟기 위해 영화기술 향상에 상당한 노력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기법들을 활용하여 <38선>에서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입각하여 제국주의의 악행을 폭로하고 있다. 여기서는 카프와 표현주의가 리얼리즘과 함께 어우러져 재현되고 있다. 다시 말해 다양한 미학사조가 공존하면서 하나의 주제를 재현하기 위해 헤게모니적 공조를 이루고 있다. 이렇게 국가가 억압받는 남조선을 해방시킬 ‘주체’로...
[학술논문] 백석의 새 발굴 작품 셋과 사회주의 교양
...우에서」가 그것이다. 이 글은 그들을 발굴, 소개하기 위해 마련했다. 「소나기」는 의인화한 소나기가 어린이의 등굣길에 벌이는 짓궂은 장난을 빌려 게으름 피우지 말라는 훈육의 주제를 웃음으로 녹여낸 작품이다. 「착한 일」은 조합 소에게까지 마음을 기울이는 소녀의 선행을 그렸다. 이를 빌려 집단주의 노동 교양을 넘어선 곳에 닿아 있는 백석의 문학주의 의식을 엿볼 수 있다. 「징검다리 우에서」는 소년과 할아버지가 징검다리에서 맞닥뜨린 사건을 줄거리로 어른 공경이라는 덕성 훈육을 반전의 짜임새로 겨냥한 작품이다. 이들 세 작품은 모두 이야기 양식에 닿아 있고, 어린이의 나날살이를 다루었다. 게다가 정치성을 마구잡이 드러냈던 어린이 문학사회 주류의 사회주의 교양 방식과 거리를 둔 백석의 뛰어난 솜씨와 개성을 잘 보여준다.
[학술논문] 조선민주청년동맹의 결성 배경 연구: 소련의 영향을 중심으로
이 연구는 소련의 영향을 중심으로, 북한의 체제 형성 초기 조직되었던사회주의 청년단체인 ‘조선민주청년동맹(이하 민청)’의 결성 배경을 고찰하고자 한다. 1920년대로부터 소련은 코민테른을 통해 각국 공산당 및조선의 공산주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레닌 집권 시기 코민테른의 공산주의청년동맹 정책은 젊은 세대에 대한 공산주의 사상 교양과 공산주의청년동맹의 조직을 당의 예비군 및 조력자로 변화시키는 것이었다. 따라서 공산주의청년동맹은 당이 근로자 대중조직을 인입하는 데 조력하는조직으로 기능했다. 국내에 단일한 공산당 결성 시도가 지속적으로 실패하던 상태에서 공산주의 청년활동은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세계사회주의화라는 코민테른의 기조는 레닌 사후 소련 수호 우선시 정책으로 변화했다. 특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