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 핵보유 국가의 핵전략에 관한 연구
...있다는 위협 인식, 이라크․시리아․이란의 연이은 핵개발 시도 등에 큰 영향을 받았다. 더불어 아랍국들에 비해 핵능력의 절대 우세속에서 핵무기를
선행적으로 사용하기보다는 반격 혹은 최후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지도자들의 인식에 의해 덜 공세적인 핵태세, 즉 응징적 보복 형태를 채택하였다. 북한의 경우 만약 비핵화 협상이 장기간 교착국면에 이를 경우 핵지휘통제 시스템이 김정은 위원장에 집중되어 있다는 점, 정권 붕괴를 야기시킬 수 있는
선행적
확전 태세를 섣불리 취할 수 없다는 점, 핵무기에 효과에 버금가는 생화학무기를 대체제로 보유하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시
선행적
확전보다는 응징적 보복 태세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북미협상이 여의치 않을 경우 지속적인 핵능력 증가와 함께 북한 지도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