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혐오의 시대 통일 의식: 평화통일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선택’과 ‘책임’이 신자유주의적 주체에게 요청되는 자격일 때, 북한은 주체의 자격이 없는 타자로, 대북지원은 북한이 “자초”한 상황에 대한 불공정한 개입으로 이해된다. 글로벌 자본주의의 맥락에서 세계시민사회와 글로벌 시장이 남북관계를 이해하는 상상의 공동체로 등장하지만, 북한은 시장 질서에 자격 없는 주체로
성원권을 가지지 못한다. 관계를 해석하는 맥락이 한반도에서 세계로 확장될 때, 민족주의에 기반한 남북의 필연적인 결합은 약화된다. 한편, 신자유주의 질서는 평화·통일교육 현장에서 경제 논리를 기반으로 통일을 이해하는 방식을 확산시키는 조건을 만든다. 그러나 이는 통일을 사적 이익침해가 예상되는 불합리한 선택지로, 북한을 제한된 자원을 불공정하게 약탈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