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경제위기 이후 북한 농업부문의 계획과 시장
...농산물
소비재
시장은 곡물 → 고기(및 고급채소) → 과일 등 주식(主食) → 부식(副食) → 기호성 먹을거리 순으로 발달하는 식품경제 발전의 보편적 경로를 밟고 있다 다섯째,
시장연계활동 기회의 많고 적음에 따라 농촌 간 격차가 벌어지고 있다 북한 농업부문
시장화를 촉진시키는 요인은 계획경제의 전반적 약화, 중국과의 교역 확대,
시장화 진전에 따른 구매력의 전반적 향상, 교통과 통신의 발달,
시장에 대한 당국의 실용주의적 태도,
시장화로부터 체득한 개인들의 실리추구적 영농의욕 증가이다 이러한 요인들이 활성화한다면 북한 농업부문
시장화는 더욱 빨라질 것이며, 중요한 변화 나아가서는 근본적인 전환까지 만들어낼 가능성을 키워줄 것이다 농업부문
시장화를 억제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