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초・중등 교육과정 및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발표하였고 이후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전면적으로 개편하고 있다. 북한의 교육과정과 교과서 정책 변화 방향 분석을 위해서 2013년에 발표된 북한의 소학교, 초급중학교, 고급중학교 교육과정안을 이전과 비교하였고, 소학교 1학년 수학과 사회주의 도덕 그리고 초급중학교 1학년 조선력사 교과서의 단원편성과 내용구성 방식을 이전 교과서들과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초・중등교육 전체에서 지도자 관련 과목과 수업시수를 늘려 3대 세습으로 이어지는 지도자 체제를 강화하고, 초급중학교 단계에서는 물리, 화학 등의 과학교과들을 자연과학으로 통합하는 가운데 수업시수를 늘려 과학교육을 강조하며, 영어 교과 수업시수 확대, 교과내용에서 이념적 표현 축소, 사실 중심의 역사 교육 강조, 국제공용어 사용 등으로 국제교류를 의식한 실리를 추구하고...
[학술논문] 북한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 분석
본 연구의 목적은 북한에서 영어를 처음으로 배우는 소학교 4학년의 영어교육 양상을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의 초안인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분석하였다. 통일부의 북한자료센터에 입수된 DVD 자료 내의 ‘수정 완성된 전개된 집필요강’을 2018년 5~9월에 전반적 구성 체제, 단원 구성 체제, 단원 학습 내용 측면에서 분석, 정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는 10개의 정규 단원, 5개의 복습 영역, 총복습 영역, 그리고 알파벳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원과 영역별로 ‘수업’ 혹은 ‘련습’으로 지정되어 있다. 둘째, 정규 단원은 4차시 수업을 위한...
[학술논문] 북한의 소학교 영어과 교육과정 분석
...않고 섞여서 함께 제시되는데 이들 내용을 분류하여 우리한테 익숙한 서구식 교육과정의 범주인 성격, 목표, 내용, 방법, 평가로 구분하여 분석한 내용을 기술한다.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신교육강령의 소학교 영어과 목표는 영어에 대한 흥미를 유지하고 영어 자모와 일상생활 소재를 중심으로 한 기초적인 영어를 익혀서 중학교 영어의 기초를 쌓는데 있다. 이에 따라서 4학년 1학기 때는 문자 없이 구어를 익히고 2학기에는 문자를 주로 익히고 5학년에서는 일상생활의 친숙한 주제를 영어로 익힌다. 교수방법은 교실영어를 사용하여 학생들이 영어에 대한 두려움을 없애도록 격려하고 칭찬하면서 동시에 익혀야 될 언어적 요소는 반복 연습을 자주 시킨다. 평가는 과정중심의 평가를 통해서 학생들의 영어 학습 동기를 자극할 수 있도록 한다.
[학위논문] 북한의 영어교육 동향 분석 : 교육정책, 교수안, 교과서를 중심으로
...여겨지는 영어교육의 현실에 대하여 분석하고자 다양한 북한의 자료들과 영어교과서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북한 영어교육의 현실과 특징을 파악하여 통일 이후에 안정적인 영어교육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북한의 교육잡지, 소학교 영어교수안, 북한 중등학교 영어교과서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교육 관련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영어교육 기사를 분석하여 북한에서 교원들에게 전달하고 현장에서 실행되는 영어교육의 정책 방향과 실태를 분석한다. 둘째, 북한의 소학교 영어교수안을 우리나라 초등학교 영어 교육과정과 비교・분석하여 초등교육단계에서 북한의 영어교육의 현실을 파악한다. 셋째, 북한 2013 개정 전후의 중등학교 영어교과서의 구성체제...
[학술논문] 북한의 소학교 4학년 영어교수안 분석
This paper aims to introduce and analyze the 4th grade primary school English teacher’s guidebook of North Korea, which has been published in 2016 on the basis of North Korea’s 2013 Revised Curriculum. The teacher’s guidebook has been analyzed in term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curriculum and textbook-related aspects, and content. Som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