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사회와 자본주의 세계의 공존 : 이론과 가능성
...있다. 대내적으로는 시장화가 진전되고,
시장화 진전에 따라 생산수단의 사유화, 경제적 의사결정의 자율화 등이 이루어져 있다. 대외적으로는 국가사회주의 체제 당국이 먼저 적극적으로 경제를 개방하고, 국가사회주의 체제와 관계를 맺은 자본주의 체제 당국은 국가사회주의 체제의 자본주의 체제로의 전환을 인위적으로 시도하지 않으면서 상호 경제발전을 위해 협력하고 있다. 북한사회에서도 1980년대 초반부터 위로부터의 시장화가 추진되면서 이러한 공존 요소가 갖춰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 경제난은 아래로부터의
시장화를 촉진했고, 2003년 종합시장 제도화 이후에는
시장화 진전이 불가역적
현상이 됐다. 이러한
시장화 진전에 따라 북한사회에서도 ‘사실상의 사유화’
현상이 나타났고, 상인, 국영기업, 협동농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