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리/관광]
...삼지연시, 김책시, 신포시, 해주시, 과일군, 순천시, 세포군, 고성군 등 북한의 동서남북 다양한 지방 15곳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실체로서의 북한의 지역에 성큼 다가갑니다. 다권본 기획이지만, 어느 한 책을 펼쳐 읽어도 북한 전역을 그려볼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지리적으로 풍부한 맥락 속에서 사유하도록 안내합니다. 북한 지역의 발견이 우리에게도 새로운 길을 열어줍니다.
남북 만남의 통로를 넓히고 길을 닦는 인프라를 놓는 출판 사업
남과 북이 만나고 교류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에 관해 무언가 알아야 합니다. 북한의 지역을 선정하여, 위치와 지형 / 기후 / 행정구역과 인구 / 교통 / 역사와 문화 / 산업 / 교육 / 인물...
[지리/관광]
...삼지연시, 김책시, 신포시, 해주시, 과일군, 순천시, 세포군, 고성군 등 북한의 동서남북 다양한 지방 15곳을 담고 있습니다. 이 책에서 실체로서의 북한의 지역에 성큼 다가갑니다. 다권본 기획이지만, 어느 한 책을 펼쳐 읽어도 북한 전역을 그려볼 수 있게 만들었습니다. 지리적으로 풍부한 맥락 속에서 사유하도록 안내합니다. 북한 지역의 발견이 우리에게도 새로운 길을 열어줍니다.
남북 만남의 통로를 넓히고 길을 닦는 인프라를 놓는 출판 사업
남과 북이 만나고 교류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에 관해 무언가 알아야 합니다. 북한의 지역을 선정하여, 위치와 지형 / 기후 / 행정구역과 인구 / 교통 / 역사와 문화 / 산업 / 교육 / 인물...
[사회/문화]
통일교육지원법 제6조에 의거, '2024년 통일교육 기본계획'을 수립하여 배포합니다. 기관별 통일교육 추진 시 널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도서 PDF 받기:_ 2024 통일교육 기본계획
...
[통일/남북관계]
...
이 책은 제주4.3의 곁에 서서 같은 곳을 향해 시선을 맞추어보며 새로운 시-공간을 경험한 원광대학교 통일교육사업단의 기획으로 발간되었습니다.
시간은 공간 속에 쌓입니다. 지나간 역사(서사)는 공간마다 켜켜이 쌓여 그 흔적을 남깁니다. 하지만 우리는 퇴적층처럼 쌓인 세월의 무게를 화석으로만 여길 뿐 그것이 간직한 기억을 인지하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어떤 역사적 ‘기억’을 걸어 본다는 것은 우리에게 보이는 것을 넘어서는 ‘공간’ 체험의 현장이기도 합니다. 이것이 ‘다크투어(Dark Tour)’의 목적이자 가치입니다. 이번 원광대 통일교육사업단의 ‘평화여행’은 단순한 장소 방문이 아니라, 기억과 평화를...
[통일/남북관계]
...이야기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미래가 점점 불안해지고 기후위기와 재난으로 생존이 위협받는 오늘날, 모두가 행복하게 공존하려면 공동체 속 시민인 나는 어떻게 살아야 할까? 지금껏 우리는 ‘시민교육’을 받아본 적이 없어 생소하지만, 독일, 미국, 프랑스, 영국 등은 시민이 가진 권리와 의무를 인식하고 이를 실천하는 사람이 되기 위해 오래전부터 시민교육을 시행하고 확대해 왔다.
〈좋은 시민이 되고 싶어〉 시리즈는 이러한 시민교육의 일환으로, 내 삶을 가꾸는 것이 사회와 공동체를 좋게 만드는 일과 다르지 않음을 알고, 스스로 서서 모두를 살리는 시민이 되기 위해 갖춰야 할 시선과 태도를 청소년 눈높이에서 비판적...
[학술논문] 북한 중학교 『국어』의 시 교육 내용과 작품에 대한 고찰
This paper is a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poems in ‘Korean’ textbooks of North Korea middle school, and desirable direction of poetry education for South-North coexistence. In 2012 Chief Kim Jong Un has advocated new educational reform policy that included expanding compulsory education and enhancing technical training and foreign language education. In one sense, we can read that they
[학술논문] 재일조선인시의‘이야기 정체성’(narrative-identity) 연구 - ‘낙원 모티프’를 중심으로 -
...언급한‘이야기론’을 참조하고 데리다의 에크리튀르 이론을 간접 원용하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를 분석할 수 있는 틀로서 ‘이야기정체성’ 문제에 대해 주목하였다. 이를 위해 총련계 류인성과 고봉전의 시에 주목하였다. 류인성의 시에서는 공화국 측이야기를 반복할 때 유년의 장소가 강하게 환기된다. 그가 돌아가고자 하는 고향 강원도는, 공화국의 이야기나 수령의 항일혁명 등의 이야기 속에서만 ‘순수한’ 민족적 정체성을드러낸다. 가령 류인성 시에 나타난 “제비” 모티프와 “귀로”의 상상력은 어머니와 할머니가 있던 유년의 강원도로 회귀하려는 시인의 발걸음이 공화국의 낙원으로 돌아가는 발걸음과 다른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고봉전...
[학술논문] 탈북학생 대상 중학교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
본 연구는 통일 대비 국어교육을 준비하는 일환으로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탈북학생용 국어 교과서 개발 작업을 위해 무엇보다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은 분단 70년간 서로 달라진 남한과 북한의 언어 이질화 양상 및 학습자 대상인 탈북학생에 대한 이해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분단 이후 달라진 남한의 표준어와 북한의 문화어의 차이와 남한과 북한의 국어교육이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를 목표와 내용, 방법 면에서 검토하였다. 아울러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과 탈북학생 및 지도 교사를 대상으로 한 FGI를 통해 앞선 연구들을 통해 확인된 탈북학생의 국어과 학업 성취 특성을 보완하고 보다 현실적인 교과서 개발 방향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고에서는 통일 대비 탈북학생용...
[학술논문] 북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징과 통일 글쓰기 수업을 위한 제안
...기획하는 데 유의미한 작업이다. 현재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사용하는 대학 글쓰기 교재를 중심으로, 글쓰기 수업의 특징을 살펴보고 향후 이루어져야 할 ‘통일 시대의 대학 글쓰기 방안’에 대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북한의 대학 글쓰기 교재의 특징의 하나는 학술적 논리와 문학적 정감이 조직에 기여하도록 훈련한다는 것이다. 이는 학술논문 쓰기와 시를 중심으로 한 문학적 글쓰기에서 뚜렷이 드러난다. 둘째는 공적 글과 사적 글의 경계가 모호하다는 것이다. 가장 사적인 편지나 일기도 공적 글의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것은 사적 글쓰기마저 공적 글쓰기의 훈련 과정에 편입되었음을 나타낸다. 이러한 상황에서 향후 통일 세대를 위한 글쓰기 수업을 어떠한 방향으로 설정할 수 있는지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는...
[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화 및 토론의 경험을 분석하여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초등학생들이 자신들의 일상세계 속에서 어떤 정치·사회적 이슈를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고 있는지, 이와 관련하여 어디서 정보를 얻고 누구와 어떤 대화를 나누는지, 또 이슈 대화 및 토론 과정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154명이 작성한 이슈 노트와 설문지를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결합한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세월호 침몰, 북한문제, 학교폭력과 같이 시의적이며 일상의 안전을 위협하는 이슈들을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고 대화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