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미술교육에 관한 질적 연구: 탈북미술가들의 구술자료를 중심으로
... 미술가”부터 “기능공”, 남한에서의 “사명자”까지 탈북미술가로서의 정체성에는 다양한 층위가 존재했다. 그리고 그들은 남한과 북한, 제3국의 시간과 공간, 관계 속에서 부단히 자기 정체성과 싸우며 미술가-되기를 실천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남북 미술교육의 공통점과 차이점, 탈북미술가들의 정체성 이해를 통해
실존적 의미로서의 통일 미술교육을 준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