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권위주의 국가의 전장 효율성 이론과 실제 : 북한군을 중심으로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또한, 대규모 부대의 정면공격과 전차부대의 신속한 기동, 소규모 부대의 후방 침투 및 교란, 게릴라 작전 등을 효과적으로 조합하여 작전목적을 달성하였다. 이러한 높은 수준의 전장 효율성은 전쟁 준비단계에서 구축된 전투력을 효과적으로 발휘하게 만든 지휘관의 전투지휘능력이었다. 반면, 2군단 예하 부대 지휘관들은 기본 전술을 망각한
안일한 전투 행동과 정면 공격만을 일삼은 경직된 전술적 사고, 비상식적인 지휘로 전쟁 준비과정에서 다져진 부대의 전투력을 스스로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전장에서 지휘관의 전투지휘능력의 차이가 전장 효율성에 영향을 주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전쟁 수행단계에서 작전을 지휘하는 지휘관의 전투지휘능력을 측정하는 지표로 4가지를 제시한다. 첫째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