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 문예지 『문학예술』(1950.6~1953.8)에 게재된 대표 단편소설 연구 -동시대적 평가의 양가성과 인물의 내면 풍경을 중심으로-
...살아있었음을 주목하였다. 그것이 남북한 문학의 접점으로써 텍스트의 서사적 리얼리티라는 미학성을 공유하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1950년대 한국전쟁기 북한소설은 남한의 종군문학과 함께 입체적으로 조망되어야 할 텍스트에 해당한다. ‘적과 동지’라는 이분법적 시각이 전쟁 서사의 기본적 골격에 해당하지만, 황순원의 「학」이나 하근찬의 「수난이대」처럼 다면체적 인간의 본성을 포착한 작품이 남한에 존재하듯, 북한에서도 인간의 심리적 동요를 보여주는 단편의 미학이 존재한다. ‘뺄셈의 정치학’으로 일관하던 ‘북한문학의
여집합’을 복원하여 ‘덧셈의 문학장’으로 외연을 확장함으로써 남북한 문학의 통합문학적 시각을 확보할 필요가 대두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