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 여성이주 서사에 나타난 행위자성과 장소의 재구성 - 『찔레꽃』과 『큰돈과 콘돔』을 중심으로
...보이지만 동시에 자율적인 이주
주체로 형성되는 결과를 가져왔다. 즉 탈북여성은 북한-중국-남한으로의 초국적 이주경험을 통해 정체성을 재구성하고 다양한 스케일에서 장소성을 창출하는 행위자가 되는 것이다. 본고는 『찔레꽃』과 『큰돈과 콘돔』을 대상으로 탈북 이주여성이 이동하는 공간에서다양한 스케일과의 상호관계 속에서 어떠한 장소성과 행위자성을 구현하는가를 살펴보았다. 『찔레꽃』에서 충심은 이주과정에서 고통받는 피해자 혹은 정책적 시혜의 대상으로수동적으로 정체성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을 통해 국가 스케일에 저항하고, “자기위신”을 지키는 자기유지의 약속을 이행한다. 나아가 북한의 부모에 대한 돌봄행위를 통해 남한이라는 장소와 협상하고
우울증적
주체에서 벗어나는 행위자성을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