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동 조선족 이야기 자료와 한반도의 관련성
...‘우리’의 범주를 설정해보고자 검토를 시작하였다.
이 문제와 관련하여 논쟁이 되는 중국 조선족의 존재를 확인해야 했다. 그리고 중국 조선족이 연변자치주, 동북
삼성 내륙, 접경도시 단동이 서로 조금씩 다른 정체성을 갖고 있기에 하나씩 확인하는 작업이 요구되었다. 지금까지 논의의 대상에서 제외되었던 단동을 다룬 것도
이 때문이다. 단동 조선족의 구전 이야기를 담은 자료집은 ① 『연화선자』, ② 『관전자료본』, ③ 『조선족고사집』, ④ 『단동소수민족고사집』 등 네 종류가 있었다. 이들은 ①에서 2편을 빼고 새로 3편을 더해 ②가 되고, ③
이 등장한 후 ①과 ③의 자료를 선별하여 ④가 만들어 지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이 과정에서 ①에서는 본향의식이 강하게 노출되는데 비해서 ③에서는 그런 모습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