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선문학가동맹과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대립과 그 원인, 1945~1953
...‘인민전선’을 토대로 인민 정권을 수립하고, 부르주아 민주주의 혁명을 완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조선의 경우, 좌파와 중간파 문학자들은 서로 협력하여 ‘문화통일전선’을 수립하고자 하였으나, 일부의 구KAPF 문학자들은 이에 반발하여 프롤레타리아 문학을 표방하는 독자적인 단체를 수립하였다. 후자는 1946년 초 월북하여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을 수립하였는데, 그 강령은 ‘조선문학가동맹’의 그것과 대동소이하였다. 동일한 노선을 추구하면서도 문학자들 사이에 분열이 발생한 원인은 동유럽이나 중국 등과 달리 식민지 조선에서는 ‘인민전선’이 확고하게 형성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북조선문예총의 문학자들은 인민전선의...
[학술논문] 일제말 전시체제기 조선방공협회의 활동과 반공선전전략
The Joseon Anti-Communism Association, founded on August 15th of 1938, was an Ideological propaganda unit that followed the establishment of the People Front by Comintern in 1935 and the China-Japan war that broke out in 1937. It had a huge organization, connecting regions, work places, communities, fraternities and even homes, and initiated various kinds of anti-Communism propagation activities through
[학술논문] 조선민주청년동맹의 결성 배경 연구: 소련의 영향을 중심으로
...공산주의청년동맹은 당이 근로자 대중조직을 인입하는 데 조력하는조직으로 기능했다. 국내에 단일한 공산당 결성 시도가 지속적으로 실패하던 상태에서 공산주의 청년활동은 산발적으로 진행되었다. 한편 세계사회주의화라는 코민테른의 기조는 레닌 사후 소련 수호 우선시 정책으로 변화했다. 특히 1935년 개최된 코민테른 제7차 대회는 파시즘에 대항한 광범한 반파시즘 인민전선의 형성을 강조했다. 이에 따라 반파시즘투쟁을 목적으로 한 공산주의청년동맹과 사회주의청년동맹의 연합 결성이 제기되었고, 스페인, 라트비아 등에서 청년들의 반파시즘적 연합활동이 전개되었다. 1936년 코민테른 집행위원회 서기국 회의는, 공산주의청년인터내셔널의 임무를 ‘공산주의적 청년조직을 근로청년의 광범한 대중조직’으로 전환하는 것으로...
[학술논문] 청계 정종여의 해방기 작품과 활동: 민족미술론의 수용과 실천
...시대상이 담긴 소묘를 비롯해 초상화와 산수화에는 “현실을 대담하게 응시하는 새로운 리얼리즘이어야 한다”는 윤희순의 사실주의 미학이 작동하고 있었다. 한편 <기축도(己丑圖)>는 당시 평자들로부터 큰 주목을 받았으나 작품이 전하지 않는데다 해방기 미술에 대한 무관심으로 그동안 논의된 적이 없었다. 흑백도판으로만 전해지는 <기축도>와 조선화의 대표작으로 일컬어지는 <고성인민들의 전선원호>(1958)의 유사한 도상, 화면구성, 주제는 해방기 미술이 북한 초기미술로 어떻게 이어지는지를 잘 보여준다. 본 연구는 민족미술 수립을 위해 부단히 노력했던 정종여의 해방기 작품을 통해 일제강점기에서 분단 이후 북한미술로 이어지는 구체적인 맥락을 찾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학술논문]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함경남도 갑산 지역의 항일운동
...조국광복회는 파시즘에 반대하는 인민전선의 성격을 띤 항일조직이었으나 프랑스의 인민전선처럼 노동자가 중심이 아니라 농민이 중심이었다. 한편, 박달과 박금철 등 소수의 인원으로 구성된 비밀결사의 특징은 지도부와 조직원들이 각각 연결되는 폐쇄적이고 단절된 구조를 지니고 있었다. 그리고 극도로 보안을 유지한 채, 조직의 명칭도 정하지 않은 상태에서 활동하고 있었다. 비밀결사조직의 한계를 인식한 박달과 박금철은 대중적 기반의 항일조직을 구축하고 항일운동의 저변을 확대하기로 결정하였다. 그리고 소극적 항일활동에서 탈피하고 변화를 모색할 방법으로 한만국경지대의 무장투쟁세력과 접촉하였다. 대중적인 기반을 확보하고 변화를 추동하기 위해서 외부 세력과의 연계를 도모한 것이었다. 항일인민전선인 조국광복회와 관련된 기존연구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