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 이전 북한 공군 간부의 구성과 정치연합체제의 구축
...졸업생이 맡고 있었다. 비행사단 지휘부는 조선의용군출신,
일본군출신, 고려인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비행사단에서 각각 역할을 분담한 채 한반도의 무력통일이라는 공통의 목표 아래 정치연합체제를 구축하고 있었다. 비행사단은 의용군출신의 지휘와 고려인의 정치사상적 지도 아래
일본군
출신에 의해 육성되었다. 추격기연대장․습격기연대장․교도연대장과 6명의 대대장은 모두
일본군
출신이었다. 또한, 비행사단 연대간부는 노동자․빈농․사무원을 주축으로 구성되었다. 이것은 북조선로동당이 지향해온 계급정책의 결과였다. 그리고 노동당은 비행사단의 노동당원을 통해 사단에 대한 당적 통제와 영향력을 관철시켰다. 이같은 비행사단의 군적․계급․당원 구성은 주요간부를 맡고 있던
일본군
출신의 정치적 동요를 차단하고 사상적 지지를 확보할 수 있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