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 통일교육에서 ‘여성·평화·안보에 관한 UN 안보리 결의 1325’의 적용 가능성 탐색
전쟁과 여성 인권의 문제가 현재 한국 사회와 밀접한 관련을 갖는 이유는 첫째, 한국은 정전협정 이후 잠재적 분쟁 지역이라는 점, 둘째, 일제 치하에서
일본군
위안부라는 여성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끔찍한 인권 침해를 경험했다는 점, 셋째, 현재 북한이탈여성들이 북한 내외에서 심각한 인권 침해를 겪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 안보, 평화는 평화통일이라는 민족의 과제를 안고 있는 한반도의 주요한 관심사일 뿐만 아니라 국제평화의 실현과도 관련된다. 이러한 점에서 무력 분쟁에서 여성과 여아에 대한 성폭력 및 인권 유린이 국제평화 실현에 방해가 된다는 맥락에서 접근하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1325 결의안 내용은 우리의 통일교육 현장에 갖는 의미가 깊다. 여성, 평화 및 안보에 대한 유엔 안보리 1325 의제는 강간 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