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북여성의 제3국 출생 자녀양육 지원 선교
...출 생 탈북청소년의 한국사회 부적응 요인, 사회구조적 요인 등으로 다양하다. 북한 출생 탈북청소년 수보다 증가하고 있는 제3국 출 생 탈북청소년 문제와 관련하여 교회의 사명의식과 참여도가 낮 고, 사역의 심화와 전문성 측면 등에서 한계가 있다. 탈북여성들과 제3국 출생 자녀들이 한국사회에 안정적으로 정 착하고 사회의 책임적 존재가 될 수 있도록 한국교회가 인식을 바꾸고, 관련사역에서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그것은 ‘건강한 가 정 회복 지원’, ‘성경적 어머니 정체성 확립 및 역할 지원’, ‘문화 및 가정교육’, ‘
자녀의
정체성확립: 개인의 존엄성과 공동체성’, ‘교회와 사회의 지원 관계 구축’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