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토' 이론 연구
...언어관을 계승함을 인정한다는 점 등을 통해 러시아 문법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뿐만 아니라 문장성분을 분석하여 문장구성의 질서를 밝히려 하였던 주시경(1910), 개별 품사의 각론에 품사의 성격, 종류, 쓰임 등을 상세히 서술한 김두봉(1916, 1922)의 영향을 크게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 조선어형태론(2005)에서
자리토 중 격토 및 도움토를 토의 의미·기능을 중심으로 서술함으로써 토가 문맥과 언어행위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설명한다는 데에서 형태중시 기능문법적 서술을 보였다. 그리고 맺음토, 이음토, 꾸밈토, 규정토는 ‘형태-구조적’ 기술을 선행한 후에 개별 토의 의미·기능을 비교적 상세히 서술하였다. 조선어형태론(2005)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