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핵무장과 한반도의 군사적 안정성: 안정-불안정 역설을 중심으로
...정치적 안정을 추구하는 정책이 중요함을 강조한다. 연구는 한반도의 군사적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안정-불안정 역설의 이론적 요소 4가지를(역설의 구조, 역설적 관계, 전술적 불안정의 원인행위자, 핵전력과 재래식전력의 상호작용) 이용하였고, 평가 대상은 한반도에전략적 안정의 구조가 만들어진 2개 기간으로(미국의
전술핵
배치 기간, 북한의 핵무장이후) 하였다. 평가 결과, 안정-불안정 역설은 미국의
전술핵
배치 기간에는 제대로 작동하였으나, 북한의 핵무장 이후는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서 안정-불안정 역설의 이론적 한계를 확인할 수 있었고, 한반도의 군사적 안정성을 평가할 수 있었다. 연구는 이론적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수정 방안을 제시하였고, 나아가 한반도의 안정과 평화를 위한한국의 정책 방향을...